프리미어/수업자료

🐦 자막 txt파일을 srt로 변환 작업과 그 후 Flow까지

순수(Pure Soul) 2025. 7. 7. 10:15

🌿 프리미어에서 cut을 마친 후/ 한글 srt로 변환하기:이작업을 하는 이유는 정확히 cut을 하고 한글로 자막 생성

1.     자막 txt 파일을 텍스트 창 점 3개 메뉴> 내보내기>텍스트 파일로 내보내기(연습용)
2.     http://hanjul.pythonanywhere.com 사이트 이용: 대본 txt파일>srt로 전환 (다운로드방에 온다)

~~~
🥕SE를 이용하여 한글ko.srt 생성:

@주의: 이 방법으로 할 때는 일반 텍스트의 중복 라인은 삭제 해야 맞아진다?

~~~

3.     srt 파일을 프로젝트 창으로 드래그&드랍
4.     타임라인으로 드래그: 선택창> 경기 미디움 크기60 VA30 (스타일) /srt 굵은체/
 
5.     메뉴>그래픽 및 타이틀> 캡션을 그래픽으로 업그레이드
 
 6.     자막이 아래에 위치하니 크기와 위치 변경 필수: 먼저 SIZE크기!!
7.     먼저 SIZE크기 변경해보자 !!> 변경 원하는 클립 모두 선택>프로젝트 창의  폰트를 드래그해 클립위에 얹는다 끝!! ❤️
8.     위치 변경해보자 !!: 먼저 클립 하나 선택 후 원하는 위치로 이동>비디오 모션 값 복사> 전체 클립 선택> 붙여넣기❤️
 
9.     @ 영상을 덮는 경우 그 클립을 위치 수정후 그 클립 에만 수정 모션 값 다시 적용(클립보드에 복사해 놓고^^ 360:203>>360:273 즉 수정값인 273만 복사해서 모션 Y위치값에 붙여넣기 반복-재생하면서 붙여넣기 해요~❤️
 
10.  타임라인 자막 섬세 조정: 한 프레임씩 늦거나 빠른 경우: 앞으로 트랙 선택 도구 (A) 를 선택하고 Shift 를 누르면 그 트랙만 선택됨> Alt+오른 혹은 왼쪽 화살표로 조정한다
11.  그래서 비어버린 GAP은 방법이 있지^^ : 앞클립 늘여서 재생헤드로 -Shift+Q / 뒤클립 늘여서 재생헤드로 -Shift+W
12.  주의 사항: 그 트랙만 선택하고 할 것—
13.  선택 도구 (V): 앞으로 트랙 선택 도구 사용 후 취소 할 때 주로 쓰게 됨

흠....
프리미어에서 자막을 txt 파일로 내보내기 하여 srt로 전환해 진행할 때...자막을 두줄로 만들면...두 줄이 된 자막만 위치 변경을 또 해줘야 한다는...문제가 발생했다...어차피 프리미어에서 cut을 한 후에 진행되기 때문에 타임코드는 대체로 맞지만...두 줄 작업에서 또 시간을 써야 하다니...조금 실망스럽다...

앗 그런데 명상 중 두 줄 위치 문제에 대한 방법이 떠올랐다!!  일단 해봐야겠다: ...해결!!

=> 두줄로 만든 하나의 클립을 보기 좋게 위치 조정을 한 후~

모션을 클릭해 Ctrl+C> Shift + 두 줄로 되어 위치 조정해야 할 클립들을 모두 선택> Ctrl+V

왜 이런 생각이 이제야 떠오를까???

암튼 도우미님들이 도우시는 거겠지? 땡큐!!!^^

@.@

♤♤♤
<또하나의 srt 추출방법 비교>

🌿 브루에 음성넣어 srt로 변환 후 /시간대 맞추어 cut 조정

프리미어  ㅡ 음성(영어)만 추출
브루 ㅡ 영어 txt 원고로 srt 파일 만들기

Subtitle Edit 프로그램 으로 불러온 후
한글 txt 파일 넣어 영어와 타임코드에 맞는지 확인 ㅡko.srt로 저장



🌳선택 기준을 잡아보자

전자는 비교적 정확하게 시간대가 맞는 방법ㅡ이지만 cut을 여전히 수동으로 하는 점

ㅡ대본 txt 를 한 자막씩 붙여넣기 하거나(1분이내의 자료일 때)
ㅡsrt 사용(1분 이상일 때? 혹은 기분따라  >.< )

@장점ㅡ타임코드 완성도 높다

후자는 자동컷이라 편리하지만
음성추출과정이 있어야 하고...
결국 수동 보정을 하면서 성격상 cut을 또 손보게 된다

@장점ㅡ양이 많은 경우, cut에 신경쓰지 않으면 빠르다

공통점
둘다 srt를 사용하기에
두줄 자막 위치 조정 손대기는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