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규소와 수소수 차이

순수(Pure Soul) 2018. 7. 29. 10:23
🔼수소수와 규소수에 관한 질문의 답글입니다

✔일본규소응용개발연구소  가네코 쇼하쿠 소장

인체의 건강을 위한 최고의 물질이
수소일거라 생각했다

그러나 수소는 활성산소와 결합하여
물로 변화되어 체외로 배설할뿐
더 이상의 기능은 없지만

규소는 활성산소를 배설해 버리지 않고
무해한 산소로 중화시켜
산소의 체내 이용률을 높일 뿐만 아니라
그 후에도 영양소로써 많은 기능을 한다.

규소는 수소와 같이 단일 원소이지만
식이섬유의 주요성분이고
인체의 오장과 육부 그리고 세포와 미토콘드리아
혈관의 중요 성분인 영양소이고
필수불가결한 미네랄이다


🔰규소와 미토콘드리아

출처/"일본의사가 임상란 규소의 힘"




암의 원인이,
미토콘트리아 쇠퇴에 의한
활성산소의 대량발생이라고 한다면,
미토콘트리아를 다시 건강하게 활성화시키면
암의 원인은 제거 된다.
또한,

➡암세포의 전이과정


미토콘트리아가 활성화 되면
충분한 에너지를얻어 세포 그 자체도
활성화 된다고 여겨진다.

미토콘트리아가 힘을 잃어 쇠퇴하는 원인은,
에너지를 만들 때마다 발생하는 #활성산소이다.
자신이 발생시키는 활성산소에 의해 약해져
한층 더 활성산소의 발생을 초래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물질,
활성산소의 불안정함을 중화하는 물질이 있으면
좋지 않겠는가?
그래서 이 책에서 소개하는 것이 규소이다.

#규소는,
강한 #항산화력을 갖고, #활성산소의피해를 방지한다.
활성산소의 불안정한 전자와 결합하여 안정화시키고,
무해한 산소로 바꾸는 힘이 있다.

중화된 활성산소는 이미 활성산소가 아니며, 미토콘트리아의 조직에 해를 입히지도 않는다.
또한 규소는 인체의 모든 조직,
장기의 세포를 구성하는 성분이다.
특히 세포벽 등의 세포를 만들고,
조직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미네랄이기에
미토콘트리아에 있어서도 중요한 것이다.

항상 활성산소의 위험과 공존하고 있는
미토콘트리아에 있어서
가장 유익한 영양성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수소수가 활성산소를 만나
단지 물로 변하는것으로 작용이 끝나지만,

#규소는 활성산소를 중화시키면서,
죽은세포를 부활시키거나,
혈관의 혈액을 건강한 상태로 되돌리거나,
혈관의 탄력을 만들어주거나,
뼈와 모발을 튼튼히 해주거나,
몸속독소를 해독하며,
중금속을 체외 배출시켜주거나,
장속 환경을 개선시켜주는 식이섬유의 역활을
하는 영양물질로써 탁월한 작용을 한다.


지금까지의 연구로,
동물실험에서 미토콘트리아가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것으로 세포의 암화,
또는 암세포 전이를 막는 것이관찰되었다.



-----------------------------------------------------------------------------


부산 센터에 못을 규소수와 수돗물 그리고 수소수에
담가 놓은 다음  나타나는 반응을 실험한
병들이 있는데요 2016년 5월10일에
실험한 것들입니다


세월이 흐르면 쇠가 녹이 스는데
인간도 세월이 흐르면 쇠가 녹이 슬듯이
우리 몸도 녹이 습니다
그걸 산화되어 간다라고 합니다
한마디로 노화를 산화라고 하며
인체의 세포와 모든 조직과 5장6부의
기능이 떨어지면서 질병에 걸리게 됩니다.

생.노 다음이 병이고 결국 죽음으로
마침표를 찍는데요

노화는 ㅡ반드시 질병의 단계를 거치는데
그걸 산화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산화를 대항하는 강력한
항산화물질이 필요하지 않겠는가요?

대표적 항산화물질인 비타민C는
항산화지수가 -80mv이지만

수용성규소의 항산화지수는 -400mv입니다
비타민c보다 무려 5배나 강력한 항산화물질이지요

항산화란 건강한 상태의 몸으로
되돌리는 힘인 환원력의 바탕이 됩니다


수소수병과 수돗물병의 물은 녹물로 거의
블랙이 되었고요

규소수(수용성규소2 대 물8의 비율로 희석된 물)
의 물은 1년6개월이 지났는데도
하나 변함없이 아주 맑은 물색깔입니다